요즘에는 느린 컴퓨터를 사용하는 분들이 그리 많이 없으실 겁니다. 하지만 본의 아니게 회사에서 지급된 노트북이 좀 오래되었거나, 노트북 다시 사긴 돈이 아쉽고, 그런 분들에게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 하드디스크 청소
정기적인 하드 디스크 청소는 PC의 속도 저하를 방지해 줍니다. 윈도우 10에는 [저장소 센스]라는 유용한 툴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이 기능 이용하면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윈도우 자체적으로 오래된 정크 파일(임시파일, 한 달 동안 변경되지 않은 다운로드 폴더의 파일, 휴지통의 오래된 파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설정 방법]
시작 버튼을 눌러 설정(톱니바퀴 모양)을 눌러, 설정의 시스템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저장소 메뉴를 선택하여 "켬"으로 변경합니다. 또한 아래에 있는 [저장소 센스 구성 또는 지금 실행]을 통해 파일을 삭제하는 빈도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어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설정> 시스템> 저장소: 토글키 "끔 → 켬"
저장소 센스 구성 또는 지금 실행: 실행 주기 변경, 지금 실행
2. OneDrive 동기화 중지
윈도우 10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기반 OneDrive파일 저장소는 모든 PC에서 파일을 동기화하고 최신 상태로 유지해 주는 유용한 백업 도구입니다. 또한 PC나 하드 디스크가 죽어도 모든 파일을 그대로 유지하고 파일 복원을 기다립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저장소와 PC 간 파일을 지속적으로 동기화해서 PC 속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설정 방법]
작업표시줄 알림 영역에서 OneDrive아이콘을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합니다. OneDrive창에 있는 [도움말&설정]을 선택하여 [설정]을 선택합니다. 상단의 메뉴 중 [계정]에서 "이 PC 연결 해제"를 선택합니다.
작업표시줄> OneDrive아이콘> 도움말&설정> 설정> 계정: 이 PC 연결 해제
※ 만약 아이콘이 없다면 윈도우키+S를 눌러 OneDrive를 입력하여 검색합니다.
3. 백그라운드 앱 비활성화
나도 모르는 새에 우리는 많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너무 많은 프로그램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컴퓨터의 속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운로드하여 사용하고 있는 그 프로그램들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다면 시스템 리소스를 소모하고 있어 컴퓨터를 느려지게 할 것입니다.
[설정 방법]
시작 버튼을 눌러 설정(톱니바퀴 모양)을 눌러, 설정의 개인정보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개인정보] 탭에서 메뉴를 내래서 [백그라운드 앱]을 선택하여 "켬"으로 변경합니다.
설정> 개인정보> 백그라운드 앱 : "끔 → 켬"
4. 애니메이션 및 시각 효과 미사용
윈도우 XP에서 부터 윈도우10까지 점점 이뻐지는 윈도우입니다. 다만 전 이 이뻐지게 하는 기능이 너무 거품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이 거품이라고 생각되는 애니메이션, 그림자 효과, 시각효과를 미사용으로 전환하는 방법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느리고 오래된 PC에서 이 설정을 변경하면 컴퓨터 속도 차이가 확연하게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설정 방법]
윈도우키+S를 눌러 [고급 시스템 설정 보기]를 검색합니다. 성능 항목에서 [설정] 항목으로 이동하여 "최적 성능으로 조정"을 선택하여 적용 버튼을 누릅니다.
고급 시스템 설정 보기> 성능> 설정: "최적 성능으로 조정"
※ 이 경우 글자가 깨지는 현상이 확인됩니다. 폰트를 깔끔하게 보시기 원한다면
맨 아래의 "화면 글꼴의 가장자리 다듬기"를 체크해주세요.
5. 투명 효과 비활성화
거품이라고 생각되는 두 번째 기능입니다. 애니메이션, 그림자 효과, 시각 효과, 투명 효과는 보기에는 이쁠지는 몰라도 내부에서는 많은 작업을 필요로 합니다. 그래서 이 기능도 비활성화해줍니다.
[설정 방법]
윈도우키+S 눌러 [색 설정]을 검색합니다. [투명 효과] 항목을 "끔"으로 변경합니다.
색 설정> 투명 효과: "켬 → 끔"
6. 윈도우 팁 앤 트릭 비활성화
윈도우 10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작업을 계속 체크하며, 운영체제로 수행하고 싶어 하는 작업에 대한 팁을 제공해 줍니다. 참 고마운 기능이지만 전 이런 "팁"이 눈에 거슬리기만 할 뿐 도움이 된 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또한 윈도우에서 사용자가 하는 일을 계속 체크하고 조언을 제공해 주는 것은 PC를 더 느리게 합니다.
[설정 방법]
시작 버튼을 눌러 설정(톱니바퀴 모양)을 눌러, 설정의 시스템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알림 및 작업] 탭에서 [Windows에 대한 팁 표시] 항목의 체크를 해제합니다.
설정> 시스템> 알림 및 작업 : Windows에 대한 팁 표시 체크 해제
특별히 레지스터나 어려운 설정을 하는 것을 배제하고 쉽게 하면서도 눈에 띄는 PC의 속도 개선을 효과를 내는 설정 방법 6가지를 소개하였습니다. 물론 추가적인 방법들이 더 있습니다만 전 이 방법으로도 충분히 만족할 만한 속도 향상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다른 분들도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다음에도 유용한 기능을 공유하겠습니다.
'[ Life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을 부르는 언어-당신은 어떤 말을 사용하나요? (0) | 2022.02.10 |
---|---|
2022년 청년 복지 정책 - 알뜰살뜰 챙겨서 똑소리나는 MZ세대 되어 봅시다. (0) | 2022.02.02 |
평택 2022년 군용비행장 소음피해 보상금 받는 법 (0) | 2022.01.29 |
구글 번역으로 이미지 번역 해보기 (0) | 2022.01.12 |
주말인데 어디가나?? (0) | 2020.11.21 |
댓글